1. 변경된 파일 원래대로 돌리기
git restore (파일명) // 특정 파일의 상태 되돌리기 (ctrl + z 효과)
git resotre . // 모든 파일 되돌리기
2. stage 상태의 파일 add 이전으로 되돌리기
git restore --staged (파일명)
3. 파일을 특정 커밋의 상태로 되돌리기
git restore --source=(헤드 또는 커밋 해시) 파일명
# HEAD 를 사용해서 2개 이전 버전으로 특정 파일 복원
git restore --source=HEAD~2 file.txt
(커밋 해쉬는 git log 로 확인 가능합니다. 아래 노란색 ab4..)
하지만 vscode는 딸깍으로 가능하죠.. vscode 만쉐이..?
'DevOps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reset --hard 실수했을 때 복구하는 방법: reflog로 살리기 (0) | 2024.12.31 |
---|---|
[Git] 추적되지 않는 파일 깔끔하게 정리하기 : git clean (0) | 2024.12.31 |
[Git] stash와 amend 가이드: 작업 임시저장과 커밋 수정하기 (0) | 2024.12.31 |
[Git] Commit message 타입 (0) | 2024.12.31 |
Github 에서 원격 저장소를 만들어 보자 (0) | 2024.03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