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git

(5)
[Git] 브랜치 다루기 고급 기능 : cherry-pick, rebase --onto, merge --squash 1. cherry-pick : 다른 브랜치의 단일 커밋 가져오기 다른 브랜치의 원하는 하나의 커밋만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.   예를 들어 b브랜치의 b2 커밋 내용만 main 으로 가져오고 싶으면  # b 브랜치의 커밋로그 확인후 b2의 커밋 해시 알기git log b# 메인브랜치에서 실행git cherry-pick (b2 의 해시) 그럼 아래의 표처럼 main 의 a4 커밋 뒤에 b2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    2. rebase --onto : 다른 가지의 잔가지 가져오기 ( 브랜치의 자식 브랜치 옮겨 심기)  신기능 개발로 b 브랜치를 작업하던 도중, 추가기능 c 브랜치를 개발하고 있는데c 기능만 사용하는 걸로 바뀐 경우입니다.  git rebase --onto (도착 브랜치) (이동 대상 브랜치의 ..
[Git ]git 의 3가지 트리 그리고 rm, mv, restore, reset 옵션 개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글입니다.틀린 부분,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피드백 환영입니다 :)  1. Working Directory untracked: Add 된 적 없는 파일tracked: Add된 적 있고 변경내역이 있는 파일tracked 상태가 되야만 git으로 관리가 가능한 파일이 된다. 그래서 새로 추가한 파일은 반드시  add 가 필수git add 명령어를 통해 Staging Area로 이동 2. Staging Area commit을 위한 임시 보관소git commit 명령어로 Repository로 이동 3. Repository 초기에 git init를 해서 만들거나 , 참조링크remote repository ( 여태껏 봐온 origin )에서 링크를 따와서 git remote add o..
SVN(Subversion) 과 Git 의 차이 개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글입니다. 틀린 부분,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피드백 환영입니다 :) 대표적인 버전 관리 시스템인 SVN과 Git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 1. 중앙관리 vs 분산관리 SVN -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되는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및 개정 관리 시스템. - commit 시, 모든 변경 사항을 중앙 저장소로 다시 보낸다. - 모든 사용자는 branching을 통해 동일한 중앙 저장소를 공유한다. - 변경 사항을 로컬에 저장할 로컬 저장소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에 네트워크 액세스가 필요. Git - 중앙 집중식 서버를 사용하여 코드를 관리하는 대신, 개발자가 로컬에서 전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저장소의 복제본인 로컬 저장소를 생성한다는 의미 의 분..
[Git ]Git, GitHub 사용하기 기초 3(pull, push, fetch) 개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글입니다.틀린 부분,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피드백 환영입니다 :)  빠른 실습을 원하신다면 다음 사이트를 추천 드립니다 :)https://learngitbranching.js.org/?locale=ko Learn Git BranchingAn interactive Git visualization tool to educate and challenge!learngitbranching.js.org   1.  가입하고 토큰 만들기 Sign Up으로 가입 후 로그인 Personal access token 만들기우측 상단의 프로필 - SettingsDeveloper SettingsPersonal access tokens - Generate new tokenrepo 및 원하는 기능에 체..
[Git] Git, GitHub 사용하기 기초 1 (init, add, commit, reset, revert) 개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글입니다.틀린 부분,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피드백 환영입니다 :)   git은 설치하셨다는 가정으로 시작하겠습니다.먼저 시간을 관리하는 법에 대해 보겠습니다.Git의 3가지 공간인 Working directory, Staging Area, Repository 가 아닌,참조했던 얄코님의 강의 비유를 빌려 , '타임캡슐에 물건을 넣고 보고 땅에 묻는다' 란 컨셉으로 이야기 하겠습니다. 1. Git 최초 설정 Git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GitHub 계정과는 별개#협업시 윈도우와 맥에서 엔터 방식 차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.$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#GitHub 계정과는 별개로 #Git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, 이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