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데이터 페칭

(2)
[TanStack Query / React Query] staleTime과 gcTime 이해하기: 데이터 캐싱 1. stale data 데이터의 사용 기간이 지났고, 다시 가져올 준비가(refetch) 되 있는 상태입니다여전히 데이터는 캐시 안에 있습니다데이터를 다시 검증해야 한다는 뜻데이터 새로 고침(refetch) 은 오래된 데이터( stale data )에 대해서만 트리거됩니다자동으로 데이터 새로 고침을 하는 트리거는 컴포넌트 remount 나 브라우져 창의 refocus가 있습니다staleTime 은 데이터의 최대 수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그러므로 데이터 새로고침 기능을 컨트롤하고 싶다면 이와 관련된 useQuery 의 옵션 중 하나인 staleTime 을조절하면 됩니다(staleTime 이 2초 (2000 ms) 라면 2초 동안에는 데이터 새로 고침이 되지 않습니다 staleTime 은 default 로..
[TanStack Query / React Query] useQuery 훅의 isLoading isFetching isPending 차이 isPending: 캐쉬된 데이터가 없고 아직 쿼리가 수행되지 않은 경우입니다. isFetching: 비동기 쿼리 함수가 수행 중인 상태,  모든 데이터 로딩 상태에서 trueisLoading: (이전의 isInitialLoading) 캐쉬된 데이터가 없으며, 비동기 쿼리 함수가 수행 중인 상태 . 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말은 데이터의 첫 번째 로딩 시에만 true가 된다는 뜻 입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isPending && isFetching === isLoading   isPending && isFetching 라고 해서 처음에는 isLoading 에 대해 좀 헷갈렸는데.. isPending  과 isLoading은 쿼리의 수행 유무에 따라 반대값이 나오게 됩니다.  const..